연구분야


사업타당성 분석
타당성분석 (Feasibility Study)

개요

정부의 재정이 대규모로 투입되는 대형공공투자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경제적·정책적·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사전검토가 필요함. 타당성 조사는 시행시기에 따라 예비타당성조사와 타당성조사로 구분되는데, 타당성조사는 주로 기술적인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예비타당성조사는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을 주된 검토대상으로 하고, 타당성조사는 사업 주무부처가 시행하는 한편 예비타당성조사는 기획재정부에서 담당

연구 내용

  • 공공적, 공익적 성격을 지닌 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
  • 민간위탁 및 민영화에 따른 합리적 운영방안 및 위탁비용의 산출
  • 공공요금 등 표준원가 구축방안 및 제반 산출기준 정립방안 연구
관련 연구
  • 01

    청사, 산업시설, 관광시설, 문화시설, 체육시설, 복지시설, SPC 등 건립 및 설립 타당성 분석

  • 02

    농산물, 특산물, 산업단지, 관광지, 축제, 시장(상가) 등 개발 타당성 분석

  • 03

    각종 지역 ·지구 지정 타당성 분석

  • 04

    기타 각 분야 사업타당성 분석

연구 프로세스
  •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후 사업 분석의 쟁점을 부각시키며
  • 수요 · 편익 · 비용 추정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 분석 및 재무타당성 분석을 실시
  •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지역낙후도 평가 · 재원조달 가능성 평가 등을 통한 정책적 분석으로 사업의 국민경제적 위치를 파악
  • 다중기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 및 정책적 분석 결과의 종합평가를 실시
  • 사업개요 분석
    •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추진경위
    • 사업 내용 분석
  • 기초자료 분석

    지역 기초자료 분석: 자연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 법제도적 분석

    상위계획과 일치성 평가: 국토종합계획, 지역계획, 개별법 및 기타계획

  • 경제적 분석
    • 개략적인 총 사업비 추정
    • 경제성 평가: 국가전체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여 순 현재가치 측정
    • 사회적할인율 설정
  • 정책적 분석
    •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지역균형개발을 위한 지역낙후도 평가
    • 재원조달계획평가
    • 정책방향과 일치성 평가
  • 민감도 분석
    • 불확실성 대처 방편
    • 공사비, 운영비, 수요 할인율 변화에 따른 경제성 변화 파악
  • 운영관리방안 종합제언
기대 효과
  • 01
    평가지표 개발 및 인센티브, 패널티 부과 방안 제언
사업타당성 분석 실적
Total 2건
타당성분석 목록
사진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
최고관리자 10-25 92
최고관리자 10-25 518

사이트 정보

  • (사)한국공공관리연구원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32(여의도동), 라이프콤비빌딩 714호 (07345)

Copyright (C) 2024 한국공공관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DreamWithCompany